ABS유동화자산증권
1) 의의 및 특징
-자산을 표준화하고 특정 조건별로 집합하여 증권을 발행하고 기초자산의 현금흐름을 상환하는 것을 의미한다.
-유동화대상 자산은 현금흐름의 예측이 가능하고 자산의 동질성이 보장되며 양도가 가능한 것이 좋다.
-동질성 결여 시 신용보강 및 평가에 따른 비용이 증가
2) ABS의 종류
- 현금수취방식에는 pass-Through security 방식과 pay-Through Bond방식이 있다.
(1) pass-Through Security (자본이전형) :
유동화자산을 매입한 유동화중개기관이 집합화하여 신탁설정 후 이 신탁에 대해서 주식형태로 발행되는 증권이다.
자산의 매각으로 인해 자산보유자의 자산에서 해당 유동화자산이 제외 한다.
금융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한다.
(2) pay-Through Bond (원리금 지급형 )
유동화 자산집합에서 발생된 현금흐름을 이용해 증권화한 후 단일증권이 아닌 상환 우선순위가 다른 다단계의 채권을 발행하는 방식이다.
Credit Tranching은 신용위험과 연관된 다단계화(CBO후순위채)
Prepayment Tranching은 조기상환위험과 관련된 다단계화(CMO)
- 기초자산에 따른 분류
주택저당채권, 대출채권, 신용카드계정, 기업대출, 회사채 등이 일반적으로 자산유동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자산 유형이다.
-> ABS 는 유동성이 낮은 자산들을 집합화하고 표준화하면서 해당 자산들의 신용을 강화한다.
'금융이 쉬워진다! > 03. 채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주인수권부사채 BW (0) | 2021.02.28 |
---|---|
옵션부사채, 교환사채, 이익참가부사채 (0) | 2021.02.28 |
채권 발행시장 (0) | 2021.02.28 |
채권 유통시장 (0) | 2021.02.28 |
채권가격결정 (0) | 2021.02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