채권의 분류
1) 발행주체에 따른 분류
구분 |
발행주체 |
종류 |
국채 |
정부 |
국민주택채권 1.2종, 양곡증권 |
지방채 |
지방자치단체 |
지하철공채, 지역개발공채, 도로공채 |
특수채 |
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관 |
토지개발채권, 통화안전증권,예금보험공사채권 |
회사채 |
상법상 주식회사 |
보증사채, 담보부사채, 무보증사채 |
2) 이자지급방법에 따른 분류
이표채 |
-표면에 이표가 붙어있어 이자지급기간에 해당 표면이율로 이자지급 -회사채의 경우 대부분 이표채로 발행 |
할인채 |
-발행시점에 액면금액을 할인하여 채권 발행 -만기이전에 이자지급없음 |
복리채 |
-이자를 만기까지 재투자하여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일시에 지급 -국민주택채권 1.2종 등이 포함 |
3) 상환기간에 다른 분류
- 상환기간이 1년이하는 단기채(통화안정증권)
- 상환기간이 1~5년 이하는 중기채(국민주택 1종)
- 상환기간이 5년 초과는 장기채(국민주택 2종)
4) 이자금액의 변동 유무에 따른 분류
- 고정금리부채권 : 확정된 표면이자를 지급
- 변동금리부채권
변동금리채권(FRN) |
-지급금리 = 기준금리 + 가산금리 로 표시되는 채권 -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지급이자가 달라지는 형태 |
역변동금리채권 (Inverse Floater) |
-액면이자율이 기준금리에 연동되지만, 기준금리 상승 시 현금흐름 감소 -역변동금리채권의 가치 = 고정금이채권의 가치 - 변동금채의 가치 (반대로 움직임 ) |
-> 역변동금리채권의 현금흐름은 고정금리 - 변동금리채권 이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변동금리 채권의 수익률이 상승하여 전체적인 현금흐름이 감소하게 된다.
'금융이 쉬워진다! > 03. 채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생상품 선도거래 (0) | 2021.02.28 |
---|---|
채권이란? (0) | 2021.02.28 |
전환사채 (0) | 2021.02.28 |
신주인수권부사채 BW (0) | 2021.02.28 |
옵션부사채, 교환사채, 이익참가부사채 (0) | 2021.02.28 |